위험기반 항공안전 감독 기본개념
위험기반 안전감독(Risk based-oversight)
- Principle of Risk Based Oversight (ICAO A38-WP/365 TE/164, 2013. 9. 25)
- 항공사의 위험특성(Risk Profile)을 활용하여 해당 감시대상의 감독빈도를 결정하는 감독 프로그램
해외 위험기반 안전감독 개발동향 : ICAO 국제표준
![국가의 항공안전감독 기본계획(정기/특별/잠재위험 …)을 통해 위험도 기반/감독점검 주기 조정을 하고 기본 점검목록 및 점검표(고정)-기본 점검목록 이행 현황 자체 점검표 현행화(항공사)-안전감독/점검상시정보 입력(항공사)[상시확인] 후 추가 점검목록 및 점검표(위험에 따라 가변)-국가의 예측적 안전정보
(Safety Intelligence)에서 안전조사 및 현장점검이 필요할 경우. 위애요인 및 위험관리 자체 점검표 현행화(항공사)-안전감독/점검 상시정보 입력(항공사)[상시확인]을 거쳐 위규사항 또는 안전성과 미흡(새로 발견된 위해요인이 높은 위험으로 평가된 경우 운항정지/중지, 만약 허용할 수 있는 위험의 경우에는 추적 관리)-새로 발견된 위해요인은 안전 정보D/B에 저장, 추적관리 및 주기적인 위험평가 수행을 합니다. 위험도에 따라 감독/점검 주기 조정을 통해 다시 첫번째 단계로 올라 갑니다.](/images/krion/sub01/sub0101_img01.png)
- ①감독/점검의 주기(Frequency) 유연화 : 위험이 높은 조직, 또는 영역에 점검 집중(감독주기 단축)
- ②감독/점검의 항목(checklist) 유연화 : 점검대상의 위험에 따라 점검목록 및 점검항목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