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소개
저고도 드론 교통관리시스템 개발 및 통신 인프라 고도화
드론교통관리 서비스 생태계 구현을 위해 국가와 민간의 역할을 각각 수행하는 드론교통관리시스템(국가용 FIMS(Fligh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서비스용 USS(UAS Service Supplier)) 개발·실증과 통신인프라 고도화·표준화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 개요
과제명
저고도 드론 교통관리시스템 개발 및 통신 인프라 고도화
총 연구기간
2023. 6. 1. ~ 2026. 12. 31. (43개월)
- 1단계 : 2023. 6. 1. ~ 2024.. 12. 31. (19개월)
- 2단계 : 2025. 1. 1. ~ 2026. 12. 31. (24개월)
참여기관
![저고도 드론교통관리 시스템 개발 통신 인프라 고도화 / KIAST 항공안전기술원 국가 UTM 운용개념 수립 및 통합실증이 가장 상위에 있으며 그 옆으로는 Kt FIMS-USS 실증 지원이 있습니다.
항공안전기술원 하단으로는 8개의 개발 시스템에 대한 안내가 있으며 차례대로 메타빌드[주] - USS 연계 FIMS 시작품 개발, KARI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USS 플랫폼 설계 및 UTM 안전기준 개발, ETRI - UTM 통신인프라 표준화 및 고도화, 한국법제연구원 - 국가 UTM 운용 규범(안) 제시,(주)케이지에프씨 - USS 시작품 개발 및 운용 플랫폼 표준(안) 도출, Smatii - 원격식별장치 고도화 기술개발, 한국항공대학교 - UTM 구현 및 공역 관리 기초 연구, 한국공항공사 - FIMS 연계 USS 개발](/img/kr/sub06/sub06_02_01_img01.png)
개발목표 및 개념도

개발목표
저고도(150m 이하)를 비행하는 150kg 이하의 무인비행장치를 대상으로 드론교통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드론비행정보시스템 교통관리사업자시스템 개발 및 실증
주요 연구내용
- 1세부UTM 운용기준 및
실증 - 2세부UTM 시스템 설계
및 구축 - 3세부UTM 인프라 설계
및 구축
사업추진전략
사업 추진전략 개요
- 01국내 기술 활용 및 타 사업과의 연계
- 기 개발 국내기술 활용 극대화
- 관련 타 사업과의 연계 추진
- 진행 중이거나 추진 예정 사업과의 요구규격 공유, 협력 개발
- 타 사업 결과물의 검증 협력 및 활용
- 02단계별 연구개발 및 현업화
- Incremental Integration
- 단계별 실증 환경 구축 및 시험
- 검증 완료된 기술 중심으로 단계적 현업화
- Incremental Integration
- 03해외와의 협력 및 차별화 병행
- 국제협력이 필요한 부분(예:인터페이스 표준)은 해외 기관/표준화기구와 협력
- 국내 지형 특성, 주거환경, 문화 등에 따라 다른 개념/접근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차별화 개발
- 04사용자 그룹의 실증시험 참여
- 실증시험 참여 다각화
- 활용부처, 사용사업자, 제조업체 실증시험 참여기회 부여
- 기체 및 탑재장치 조기 검증 및 관련 산업/서비스 활성화
- 실증시험 참여 다각화
활용계획
UTM 운영자
- UTM 시스템 내 드론 조종사 기상, 장애물 정보 및 비행경로 인근 유인기/타 드론 운영정보 획득을 통한 안전한 운행
- 국가 저고도 영공의 안전성, 효율성 및 형평성 보장을 위한 전략적 결정
- 취미용 드론 사용자 UTM에서 제공하는 기상, 장애물 등 안전 정보 사용
- 유인기 조종사 비행경로 내 드론 비행정보 획득
- 항공교통관제사 UTM 제공 정보 공유 및 드론 감시를 통한 관제권 안전 관리
- 일반 국민 내 주변 드론 정보 검색을 통해 개인정보 보호, 보안, 안전 관련 정보 획득
기대효과

1저고도 공역 내 안전한 드론 운영

2산업 다양화 · 활성화

3위치추적 · 경로설정 · 지형경계 등 핵심기술 개발

4취미용부터 산업용 드론까지 운영기준 법제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