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팝업열기
팝업 닫기

항공기술원

닫기
KIASTORY

대한민국 유일 항공안전 전문기관
항공안전기술원입니다.

항공뉴스

항공과 관련된 뉴스를 한곳에서
  • 다양한 언론사에서 제공하는 뉴스정보를 한곳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포털사이트의 데이터와 연계하여 보여지는 정보로 항공안전기술원에서 직접 제공하지 않습니다.
NO.10 아세아항공직업전문학교 "항공보안학과 입시 수험생, 입학 상담 진행"

항공 특성화 교육기관인 아세아항공직업전문학교 항공보안계열은 고3수험생을 대상으로 2026학년도 신입생을 모집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아세아항공직업전문학교 항공보안계열은 항공보안 관련 전문 인재 양성을...

2025-04-30 12:44:00
NO.9 티웨이항공 청주-울란바타르 노선 신규 취항…5월에도 '순항'

티웨이항공이 29일 청주-울란바타르 노선을 신규 취항한다. 청주국제공항에서 취항식을 진행하고 성승면 한국공항공사 청주국제공항장, 김영찬 티웨이항공 청주지점장 및 공항 관계자들이 참여해 꽃다발 전달과...

2025-04-30 12:34:00
NO.8 사망 사고 낸 항공사, 1년 동안은 신규 노선 금지시킨다

정부는 무안공항 참사가 발생한 지 넉 달 만에 항공 안전 혁신 방안을 내놨습니다. 사망 사고가 발생한 항공사에는 1년간 운수권을 배정하지 않기로 했고, 올 하반기부터 조류 탐지 레이더를 도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2025-04-30 12:32:00
NO.7 KB손보, 해외여행보험 개정…항공 지연·기후질환 보장

지수형 항공기 지연 특약과 기후 질환 보장을 새롭게 탑재한 'KB다이렉트 해외여행보험'을 개정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KB손보는 이번 개정을 통해 ▲지수형 항공기 지연보장 ▲온열질환진단비 ▲한랭질환진단비 등...

2025-04-30 12:26:00
NO.6 한화에어로 "차세대 항공엔진, 2027년 개발 착수해야…전력화 늦출 수 없...

| 이코노미사이언스 정상훈 기자 | 국산 항공엔진 개발이 차세대 전투기 전력화 일정을 맞추기 위해서는 오는 2027년까지 사업 착수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30일 김원욱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첨단항공엔...

2025-04-30 12:18:00
NO.5 사천시지도자회 '제1회 우주항공의 날 기념식 사천 개최' 강력 촉구

경남 사천시지도자회가 30일 사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제1회 우주항공의 날 기념식 사천 개최’를 강력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정부가 우주항공청 소재지가 있는 사천이 아닌 경기도 과천에서 첫...

2025-04-30 12:18:00
NO.4 정부, 사망사고 항공사 1년간 운수권 제한...공항 둔덕 제거

앞으로 사망자 발생 사고를 일으킨 항공사에는 1년간 일부 국제 노선에서 운항할 수 있는 권리인 '운수권'이 제한됩니다. 공항에서는 충돌 시 큰 피해로 이어지는 둔덕 형태의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을 제거하고, 항공...

2025-04-30 12:08:00
NO.3 아세아항공직업전문학교, 국제 산업전 현장견학 통해 비파괴검사 전문...

아세아항공직업전문학교(이하 아세아항공) 스마트안전진단계열은 지난 17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개최된 '국제 용접·절단 및 판금 레이저 설비 산업전'을 방문해 현장견학을 실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견학은...

2025-04-30 12:02:00
NO.2 국토부 항공 대책에 무안공항 재운항 시기 미정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국토교통부가 마련한 항공안전 대책에 무안국제공항 재운항 시기가 명확히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국토부는 오늘(30일) 오전 항공안전 혁신 방안을 발표했는데, 방위각 시설 개선 등이...

2025-04-30 14:31:00
NO.1 ‘사망사고’ 항공사에 1년간 신규노선 안준다

앞으로 사망자 발생 사고를 일으킨 항공사에는 1년간 신규 운수권 배분이 제한된다. 공항에서는 충돌 시 큰 피해로 이어지는 둔덕 형태의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을 제거하고 항공기와 새의 충돌을 방지한다....

2025-04-30 11:58:00
상단이동
인천광역시 서구 로봇랜드로 155-11 로봇타워(16~18층) 기획경영본부·항공안전본부·감사실, 155-30 로봇연구소(1~3층) 항공인증본부·미래항공본부 TEL. 032-727-5500 Fax. 032-727-5660

Copyright (c) 2018 Korea Institute of Aviation Safety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