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AST Insight
드론 산업의 혁신과 발전 지원을 위한 발판, 드론 비행시험센터 지역별 소개
- 미래항공인프라실 / 유지현 연구원
- 조회 : 450
- 등록일 : 2024-10-22
미래항공인프라실 / 유지현 연구원
드론 비행시험센터의 시작
항공안전기술원은 드론의 안전한 비행시험을 위하여, 2017년 12월 13일 드론전용비행시험장 구축 및 운영 사업을 국토교통부로 위탁받아 사업을 추진해왔습니다. 비행시험센터는 3단계로 나뉘어 구축되었으며, 2017년 1단계 비행시험센터인 영월, 보은, 고성에 센터 구축 첫 삽을 뜨게 되었습니다. 2단계로 인천과 화성에 구축되었으며, 마지막 3단계로 의성에 비행시험센터가 올해부터 운영을 시작하게 되면서 인천을 중심으로 6개의 비행시험센터를 통합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 지역별로 특성화된 시험장비와 비행시설, 비행공역을 보유하고 있어, 이용자가 원하는 드론 비행시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비행시험센터 지역별 시험 장비 소개
지역별 드론 비행시험센터 마다 드론이 비행하면서 확보할 수 있는 시험비행 데이터 외에도 추력, 하중 등 지상에서 다목적 성능 시험을 위한 장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
|
|
정지추력시험(영월) |
환경시험시설(영월) |
전자파내성시험(보은) |
|
|
|
외풍조종성시험(고성) |
비행정밀도시험(인천) |
비행하중시험(화성) |
□ 정지추력시험기(영월) : 드론에 장착된 프로펠러의 추력성능확인을 위한 시험장비
- 추력시험범위 : 0~5,000kg / 분해능 : 0.1%
- RPM측정범위 : 1~10,000kg / 분해능 : 0.1RPM
□ 환경시험시설(영월) : 온도와 습도를 제어할 수 있는 환경시험장비
- 온도범위 : -40~80℃
- 습도범위 : 30~98%
□ 전자파내성시험(보은) : 저주파를 드론에 인가하여 정상작동(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장비
- 차폐성능 : 80dB 이상
* 시험주파수 : 700MHz~18GHz
* 시험규격 : 1EEE-STD-299(2006)
- Quiet Zone(VSWR) 성능
* Quiet Zone 크기 : 50cm
* Reflection Level : 20dB 이상
* 시험주파수 : 7,000MHz~18GHz
* 시험규격 : IEEE-149-1979(R2008)
□ 외풍조종성시험(고성) : 시험장비의 풍속을 제어하여 조종성시험을 측정할 수 있는 시험장비
- 크기 : 3 × 3m
- 풍속 범위 : 2.5~15m/s(~50kt)
- 돌풍 범위 : 0~45도
- 돌풍 횟수 : 1~100회
□ 비행정밀도시험(인천) : 3개의 카메라를 활용하여 드론을 추적하여 정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장비
- 카메라 자동 추적 기능, FHD(1,920×1,080) 화소,
- 레이저거리 최대 6km 측정 가능(차량 4km)
□ 비행하중시험(화성) : 드론 비행 시 각 모터 구동축 또는 지지대에 작용하는 구조 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시험장비
- 총 하중 : 4,800N 이상(9.8N×100kgf×로드셀6=5,880N)
- 드론 고정부 1개, 지지대 고정부 6개
- 추력측정 로드셀 100kg / LC-1205 계열 1개, 지지대 로드셀 100kgf 6개, 50kgf 6개
비행시험센터 지역별 비행시설 안내
드론 비행시험센터는 드론의 시험비행을 위한 장비와 더불어 비행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이용자 요구도에 맞는 시험비행이 가능합니다.
|
|
|
영월 헬리패드 21×21m |
영월 활주로 220×20m |
영월 군집드론용패드(구축중) 57×130m |
|
|
|
보은 헬리패드 21×21m |
고성 활주로 200×20m |
인천 헬리패드 21×21m |
|
|
화성 헬리패드 21×21m |
의성 헬리패드 21×21m |
비행시험센터 향후계획
현재 드론산업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물품발송, 감시정찰, 기상측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성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드론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발전된 기술의 안전 검증이 필요한 단계입니다. 발전된 드론이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활용되기 위해 유사한 환경의 시험비행이 필요합니다. 드론 비행시험센터는 전국 6개의 시설을 두고 있으며, 도심, 산악환경 등 다양한 환경을 고려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희 항공안전기술원은 드론 산업 발전을 위해 이용자의 요구도에 맞는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