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ASTory
AI로 선도하는 항공 안전의 미래: EU-Asia Pa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in Aviation Workshop (EU-APAI) 참석 후기
- 도심항공항행정책실 / 정유민 연구원
- 조회 : 2102
- 등록일 : 2025-01-06
2024년 11월 20일부터 21일까지 싱가포르 난양이공대학교에서 개최된 EU-Asia Pa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in Aviation Workshop(APAI)에 항공안전기술원의 연구진이 참여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유럽연합항공안전청(EASA)이 주최하고, 아시아태평양 및 유럽의 항공산업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AI 기술이 항공 안전성과 효율성을 어떻게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지 논의하는 자리였습니다.
워크숍 개요 및 주요 논의 주제
본 워크숍은 EASA AI 로드맵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글로벌 표준화 및 안전한 AI 기술 인증 프레임워크 구축이 주요 논의 주제였습니다. 특히, AI 기반 항공 시스템의 신뢰성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준 수립, EU AI Act와 연계한 규제 및 인증 체계 개발 그리고 주요 산업체(Airbus, Boeing, Rolls Royce 등)의 AI 연구 결과 및 활용 사례 발에 대한 주요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전통적 항공 시스템과 AI 시스템의 차이
AI 기반 시스템은 전통적인 항공 시스템과는 차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존 시스템은 규정 기반으로 의사결정하지만 AI는 데이터와 학습 알고리즘에 기발하고 있으며(데이터 중심성), AI는 변화하는 환경과 데이터에 따라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개선이 가능합니다.(적응성) 따라서 AI 기반의 자동화를 통해 인간의 작업 부담을 줄이고 운영 효율을 증대하여 추후 필요성과 중요성이 더 부각될 것입니다.
AI 활용 예상 분야
AI는 항공산업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의 혁신이 기대됩니다.
◆ 항공 교통 관리(ATM) : 딥러닝을 활용한 교통 최적화 및 실시간 비행경로 조정
◆ 정비 및 유지보수 : 예측 분석을 통한 정비 효율화 및 비용 절감
◆ 충돌 회피 시스템 : AI 기반 센서와 경로 최적화를 통한 사고 방지
EU AI Act 및 규제 체계 – 발효 (24.08.) / EU 이사회 최종 승인 (24.05.)
유럽연합(EU)이 발효한 인공지능법(AI Act)은 AI 기술의 안전성과 윤리성을 보장하기 위한 법적 프레임워크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
◆ 위험 등급 분류 : AI 시스템을 위험 수준에 따라 구분(예: 최소, 제한, 고위험)
◆ 기술 요구사항 : 고위험 AI시스템에 대해 데이터 관리, 투명성, 설명 가능성 등 엄격한 요구사항 부과
◆ 감독 및 인증 : 공공 기관과 산업 간의 협력을 통해 인증 체계 개발
AI 로드맵 2.0 및 개념 문서 (23.05 / 23.02.)
|
EASA의 AI 로드맵 2.0은 2025년까지 Level 1 시스템 인증, 2035년까지 Level 2/3 시스템 인증을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이를 위해 단계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안이 마련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Level 1 : 규칙 기반 AI 시스템의 안전성 검증
◆ Level 2/3 : 자율성과 적응성을 갖춘 고도화된 AI 시스템 인증
◆ 개념 문서 : AI 기반 항공 시스템의 적용 가이드라인과 안전성 평가 기준 제시
AI 활용 사례 및 연구 결과
워크숍에서는 Airbus, Boeing, EUROCONTROL 등 주요 항공 산업체들이 AI 기술을 활용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Boeing: EASA와 협력하여 AI 기반 시스템 인증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인간-AI 협업 시스템(Level 2A/3A)에 대한 연구 진행 중
● Airbus : MLEAP 프로젝트를 통해 머신러닝 모델의 데이터 품질 관리 및 일반화 능력 향상을 목표로 연구
● EUROCONTROL : ContrailNet 프로젝트를 통해 항공 교통 최적화 및 기후 변화 완화를 위한 AI 기술 적용
항공안전기술원의 역할
“Korea's Approach to Adapting AI in Aviation”을 주제로 발표하며, 한국의 AI 정책 및 UAM(Urban Air Mobility) 기술 연구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발표에서는 한국이 AI와 항공 안전성을 융합한 기술 선도 국가로 자리 잡기 위한 전략을 중점적으로 다루었습니다.
성과와 전망
이번 워크숍 참석을 통해 항공안전기술원은 글로벌 항공안전 정책 및 AI 기술 인증 체계를 이해하고, 이를 한국 실정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방향성을 설정했습니다. 향후 글로벌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지속해서 연구 역량을 강화할 예정입니다.